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한국대학방송 장창훈 기자]=천간(天干)은 하늘의 줄기이고, 지지(地支)는 땅의 가지이다. 가지에서 열매가 열리듯, 동물들을 하늘줄기의 열매로 보았다. 하늘의 줄기는 곧 때를 말한다. 천간은 10가지 때를 의미하는데, 시간의 흐름이 천간(天干)속에 자세히 나타나있다. 때는 곧 식물의 자람을 통해서 표현되는데, 천간이 곧 그것이다.
갑(甲)은 씨앗을 땅속에 막 뿌려서 자라고 있는 모습이다. 갑옷을 입고 있는 모습도 되지만, 사실은 씨앗이 아직 껍질을 벗지 못하는 모습이다. 갑(甲)에 밭 전(田)이 보이듯이 씨앗이 아직 껍질을 벗지 못하고 머리를 내밀고 있는 모습이다.
을(乙)은 새 을이라고 하는데, 새 모양을 본뜬 것은 맞다. 그러나, 씨앗을 먹는 ‘새’로 보면 안된다. 씨앗이 땅을 뚫고서 막 올라오는 모습이다. 농부(農夫)들은 알 것이다. 씨앗이 땅을 뚫고 올라올 때는 땅의 뚜껑을 뚫어야하기 때문에 몸을 구부리면서 엄청나게 힘들게 올라온다. 어쩔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乙이다.
병(丙)은 병(兵)으로 착각하면 안된다. 丙은 줄기가 어느 정도 올라와서 뿌리가 밑에 내린 모습이다. 농부가 밭에 씨앗을 뿌리고, 이제 막 싹이 올라온 상태가 바로 丙이다. 땅위로 고개를 내밀고서 뿌리를 뻗었으므로 생존에는 문제가 없다. 갑(甲)은 시작, 을(乙)은 진행, 병(丙)은 어느 정도 과정이 지난 상태인 것이다.
정(丁)은 장정 정라고 불리는데, 사실은 못을 본뜬 글자이다. 식물이 완전히 줄기를 뻗은 모습인데, 나무로 본다면 여름철 아주 무성한 상태이다. 벼로 본다면 줄기가 하늘로 치솟은 모습인 것이다. 이정도 되면 씨앗이 자기 모습을 완전히 성장한 상태인 것이다.
무(戊)는 과(戈)가 있는 글자이다. 성장(丁)에는 반드시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과일이나, 벼나 모두 동일하다. 과일이 엄청나게 자라게 되면 반드시 열매를 솎아내야한다. 열매를 솎아내지 않으면 나무가 너무 잘라서 볼품없는 나무가 되고 만다. 벼도 마찬가지다. 너무 무성하게 자라게 되면 벼를 솎아내야지 가을철에 추수할 것이 많은 법이다. 무(戊)는 가지치기를 말한다. 성장이 마치면 반드시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기(己)는 자기 기이다. 사람으로 말한다면 허리를 굽히고 앉아있는 모습이고, 기도하는 모습으로 해석된다. 성장후에 가지치기를 해야만 반드시 자기 모습이 나타난다. 이것이 완전한 자기 모습인 것이다. 추수를 기다리는 벼의 모습을 의미한다. 禾도 고개숙인 나무의 모습이듯이 ‘己’는 벼가 모두 자라서 추수를 기다리는 모습이며, 열매가 모두 자라게 되면 가지가 아래로 향하여 고개를 숙이는 모습이 된다.
경(庚)은 집속에서 방아를 찧는 모습이다. 쌀로 본다면 벼의 껍질을 벗기는 과정인 것이다. 열매로 말한다면 껍질을 까고 있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추수가 끝나고 이제는 그 열매를 먹기 위해서 뭔가 작업을 하는 과정인 것이다. 방아를 찧는 것은 반드시 ‘己’후에 이뤄진다. 그래서 겸손함이 정말로 중요한 것이다. 겸손하지 않다면 庚의 위치에 갈 수가 없다.
신(辛)은 메울 신이다. 신라면에 등장하는 한자이다. 신라면은 매운 라면이다. 신(辛)은 옛날에 죄수들에게 인두로 이마에 칼집을 내던 도구인데, 죄수들이 얼마나 아프고 매웠으면 ‘辛’을 맵다고 했겠는가? 맵다는 것은 ‘매’를 맞는다는 것과 같다. 辛은 칼이다. 즉, 요리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밥으로 말하자면 이제 반찬과 함께 먹을 것을 장만하는 과정이다.
임(壬)은 사람이 바른 자세로 앉아있는 모습이다. 밥과 반찬이 모두 준비가 되어서 바른 자세로 밥먹을 준비를 했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모든 것이 편리해져서 식당에만 가더라도 밥을 시키면 밥이 나온다. 그러나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다. 들판에서 곡식이 자라서 추수를 하게 되면 첫 음식은 반드시 하늘앞에 제사로 드렸다. 제사를 드리기 위해서 자시 몸과 마음을 깨끗이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癸)는 하늘(天)앞에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늘에서 내려와서 땅에 씨앗이 뿌려져서(甲)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 것(癸)이 천간의 마지막이다. 씨앗의 성장과 소멸은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 우리는 겨울이 모든 낙옆이 떨어진 죽음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한자를 만들었던 동이족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곡식이 가을에 추수되면, 그 곡식은 인간의 손을 통해서 하늘로 올라가고, 겨울철은 곡식이 인간을 통해서 새로운 형태로 변형되는 때로 인식했던 것이다.
천간은 10진법과 같다. 그래서 갑(甲)은 숫자로 ‘4’에 해당한다. 갑을병정 무기경신 임계를 외울때는 손가락을 4개 펴면서 외우면 된다. 5는 ‘을’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10은 ‘경’이다. 갑이 곧 ‘4’이기 때문에 손가락을 4개 펴면서 ‘갑을병정 무기경신 임계’라고 외우면 각 숫자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임진왜란은 ‘임’이고, 갑을병정 무기경신 임계를 외우면 ‘2’에 해당하므로 ‘2’로 끝나는 1592년에 일어난 사건임을 알 수 있다. 갑신정변과 갑오경장은 모두 ‘4’로 끝나는 해에 발생했고, ‘을미사변’은 ‘5’로 끝나는 해에 발생했다.
참고~~!
사주팔자는 천간과 지지의 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천간(天干)의 십간(十干)과 지지(地支)의 십이지(十二支)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천간(天干) : 천간은 하늘의 기운을 의미하고 그 종류는 다음과 같이 10가지이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
천간(天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오행(五行) |
木 |
木 |
火 |
火 |
土 |
土 |
金 |
金 |
水 |
水 |
음양(陰陽)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지지(地支) : 지지는 땅의 기운을 의미하고 그 종류는 다음과 같이 12가지이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
지지(地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띠 |
쥐 |
소 |
호랑이 |
토끼 |
용 |
뱀 |
말 |
양 |
원숭이 |
닭 |
개 |
돼지 |
오행(五行) |
水 |
土 |
木 |
木 |
土 |
火 |
火 |
土 |
金 |
金 |
土 |
水 |
음양(陰陽)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천간(天干)의 십간(十干)과 지지(地支)의 십이지(十二支)중 양의 천간은 양의 지지와 음의 천간은 음의 지지와 1:1의 조합 60가지로만 이루어진다.
예)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중에서 갑자(甲子)는 양과 양의 가능한 조합이나 갑축(甲丑)은 양과 음의 불가능한 조합이다. 앞의 ‘60갑자’의 예를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십간
십간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
음양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양(陽) | 음(陰) |
색상 | 파랑(靑) | 파랑(靑) | 빨강(赤) | 빨강(赤) | 노랑(黃) | 노랑(黃) | 하양(白) | 하양(白) | 검정(黑) | 검정(黑) |
숫자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십이지
지지 | 생초 | 방위 | 시간 | 음력 | 음양 | 오행 | 오경[1] |
---|---|---|---|---|---|---|---|
자(子) | 쥐(鼠) | 0° (북) | 23시 - 1시 | 11월 | 양 | 수 | 삼경 |
축(丑) | 소(牛) (베트남에서는 물소) | 30° (북북동) | 1시 - 3시 | 12월 | 음 | 토 | 사경 |
인(寅) | 호랑이(虎) | 60° (동북동) | 3시 - 5시 | 1월 | 양 | 목 | 오경 |
묘(卯) | 토끼(兎) (베트남과 타이에서는 고양이) | 90° (동) | 5시 - 7시 | 2월 | 음 | 목 | - |
진(辰) | 용(龍) | 120° (동남동) | 7시 - 9시 | 3월 | 양 | 토 | - |
사(巳) | 뱀(蛇) | 150° (남남동) | 9시 - 11시 | 4월 | 음 | 화 | - |
오(午) | 말(馬) | 180° (남) | 11시 - 13시 | 5월 | 양 | 화 | - |
미(未) | 양(羊) | 210° (남남서) | 13시 - 15시 | 6월 | 음 | 토 | - |
신(申) | 원숭이(猿) | 240° (서남서) | 15시 - 17시 | 7월 | 양 | 금 | - |
유(酉) | 닭(鷄) | 270° (서) | 17시 - 19시 | 8월 | 음 | 금 | - |
술(戌) | 개(犬,狗) | 300° (서북서) | 19시 - 21시 | 9월 | 양 | 토 | 초경 (일경) |
해(亥) | 돼지(豚,猪,豕) (일본에서는 멧돼지, 타이에서는 코끼리) | 330° (북북서) | 21시 - 23시 | 10월 | 음 | 수 | 이경 |
'생활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불[釋迦佛]~? (0) | 2014.10.01 |
---|---|
아미타불,무량수불,극락왕생~~? (0) | 2014.10.01 |
[스크랩] 사시사철 날 괴롭히던 하수구 냄새! 해결! (0) | 2014.08.18 |
[스크랩] (마감)Mbn 엄지의 제왕에 나온 발모팩 재료 무료 나눔 (0) | 2014.08.09 |
[스크랩] '탈모 극복' 최고의 비결, 발모차 (0) | 201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