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매듭법은 등반에 있어서 약속입니다!!!
3. 매듭법
3-1 Knot
(1) 옭매듭 (Overhand knot) 막매듭, 오버핸드매듭, 퓨러매듭
등으로 불리며, 간단한 고리를
만들거나 다른 매듭을 한 후 풀리
지 않도록 끝처리를 하는 매듭으
로 많이 사용된다.
(2) 테이프매듭 (Tape knot) 테이프매듭은 링벤드(ring bend), 워터노트(water knot)로도
불리우고 있으며, 주로 웨빙(테이프슬링)을 묶는데 사용된다.
이 매듭의 단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쉽게 풀어지기 때문에 매
듭을 할때 매우 단단히 조여주어야 하고, 매듭의 양쪽끝은 항
상 4-5cm정도 여유를 남겨 놓아야 한다.
또한 사용하기 전과 사용중에도 수시로 매듭이 풀리지 않았나 점검해야 한다.
(3) 이중 피셔맨즈매듭(Double Fisherman’s knot) 이 매듭은 2개의 로프를 서로 연결할
때 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또한 가장
확실한 매듭이다.
매듭의 크기도 작고 산뜻한 장점이 있
지만,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는 풀기
어렵고, 특히 동계등반시 매듭이 얼어
붙게 되면 더욱 풀기가 곤란해 진다.
매듭의 양쪽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한다.
웨빙을 연결할때 이중피셔맨즈매듭을 사용하면 테이프매듭에 비해 단단한 매듭을 할 수 있다.
(4) 8자매듭 (Figure 8 loop)
8자매듭은 매듭중 가장 강한 강도를 지닌 매듭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도 쉽게 풀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등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매듭이다.
① 고리 8자매듭 : 로프의 중간과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잠금카라비너를
연결할 때 많이 쓰이는 매듭
② 되감기 8자매듭 : 되감기 8자매듭은 로프의 한 쪽 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매듭하는
가장 확실한 매듭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되감기 8자매듭을 한 후 로프의 끝은 반드시 1- 2회정도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안전하다. 이 매듭은 또한 나무나 고정된 확보물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도 많이 쓰인다.
또한 2개의 로프를 연결할때도 자주 쓰이는데, 조여진 후나 얼어 붙었을 때에도 풀기
쉽다.
③ 이중 되감기 8자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등반자의 안전벨트
에 8자매듭으로 연결할때 쓰이는 매듭으로 풀리지 않도록 완전하게 하
기 위해서는 끝을 옭매듭으로 처리하거나 카라비너를 걸어 두어야 한다.
④ 로프연결 8자매듭 :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 강도가 높고,
충격을 받은 후에도 잘 불리는
장점이 있다.
로프긑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감해야 한다.
(5) 보울라인매듭 (Bowline)
① 보울라인매듭 :
보울라인매듭은 로프의 한쪽끝만으로 나무,고정확보물등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할 때에 사용되는 매듭이다.
매듭이 헐거워져 뒤집힐 경우 로프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로프의 끝은 반
드시 옭매듭으로 묶어야 한다.
② 되감기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끝으로 안전벨트에 묶는 매듭중 되감기 8자 매듭과
함께 가장 확실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③ 이중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두줄로 하여 안전벨트에 직접 묶는 매듭으로 매듭의 끝
은 풀림방지를 위하여 옭매듭이나 카라비너를 걸어서 마무리를 해야 한다.
④ 요세미테식 보울라인 :
로프의 끝을 안전벨트에 연결하는 매듭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 강도
가 보완되며 끝이 잘 풀리지 않도록 처리한 매듭이다.
3-2 Hitch
클로브 히치 (Clove hitch)
우리나라에서 주로 까베스땅(cabestan)매듭으로 불리는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카라비너에 쉽고 빠르게 매듭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매듭이다. 매듭후에도 쉽게 앞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로프의 임시고정용, 등반자의 자기확보용 매듭으로 널리 쓰이는 매듭
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하프 클로브 히치(Half clove hitch)
이 매듭은 보통 반까베스땅, 뮨터히치로 불리며, 선등자와 후등자를 손쉽게 빌레이할 수 있는데, 매듭이 뒤집히며 선.후등자의 등반
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쉽게 제동도 할 수있다. 또한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하프 클로브히치를 사용할 때에는 개폐부분이 넓은 잠금카라비너를 사용해야 매듭설치와 사용이 안전하며 편리하다. 일반 카라비너
를 사용할 경우, 간혹 매듭이 카라비너를 이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빌레이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히치에 의한 빌레이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거스히치(Girth hitch), 오버핸드슬립 (Overhand slip)
거스히치, 오버핸드슬립, 클로브히치등은 피톤(하켄)이나 아이스스크류등이 완전히 박히지 않았을 때 사용되는 간단한 매듭들이다.
특히 거스히치는 매우 자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매듭이다. 나무에 슬링을 두를때, 슬링을 안전벨트에 걸때, 두개의 슬링
을 연결할 때등 등반외에도 그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3-3 Friction
마찰을 이용하는 매듭은 등반용 로프를 이용하여 오르 내리거나 여러가지 조난에 대비한 보호장치, 추락자의 임시고정용등 특수한
상황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매듭이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하는 매듭이다. 이 매듭들은 매듭끝의 고리에 하중을 걸어주면 매듭이 주
로프를 조여주어 움직이지 않고, 하중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는 매듭이 주로프의 아래 위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① 프루지크 매듭 (Prusik knot) :
프루지크매듭에 사용하는 슬링은 반드시 코드슬링으로 주로프보다 가는 5-7mm의 코드슬링을 사용해야 한다.
(웨빙으로 프루지매듭을 할 수 없다) 로프가 얼어 있거나 무거운 하중이 걸릴 때는 슬링을 3-4회이상 돌려야 한다.
코드슬링의 굵기가 주로프보다 가늘면 가늘수록 더 안미끄러 지게 된다. 이 프루지크매듭은 초보자나 위험한 곳을 하강할 때 보호장치,
추락자 고정시, 구조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한다.
② 바흐만 매듭(Bachmann knot) :
바흐만매듭은 프루지크 매듭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이 매듭은 카라비너에 코드슬링이나 웨빙슬링을 걸어 주로프에 돌려주면 되는데,
프루지크매듭보다 매듭의 상하 이동이 매끄럽고 하중이 걸린 후에도 매듭이 쉽게
느슨해 진다.
그래서 이 매듭은 부상당한 등반자가 스스로 자기확보를 하며 오를때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는 점과 웨빙슬링을 사용할 수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③ 클렘하이스트매듭(Klemheist knot) :
이 매듭도 역시 프루지크매듭이나 바흐만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이나 마찰로 인한
슬링의 손상이 매우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매듭 역시 바흐만매듭과 같이 프루지크매듭보다 상하작동이 용이하고 좋은 손
잡이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3-4 매듭의 주의사항
매듭의 강도
매듭을 하지 않은 상태 100 % / 8자 매듭 75-80 % / 보울라인매듭 70-75 % / 이중 피셔맨즈매듭 65-70 %테이프매듭 60-70 % /
클로브히치 60-65 % / 피셔맨즈매듭 60-65 % / 옭매듭 60-65 %
* 단단하게 조여서 매듭을 만들어야 한다.
* 고리는 가급적 꼭 필요한 크기만 하게 만들어야 한다.
* 매듭은 보통 두줄이 함께 돌아가게 되는데 서로 엇갈리거나 겹치지 말고 나란히 돌아 가야 한다.
- 겹친 부분에서 강도 저하
* 매듭의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해야 한다.
* 매듭의 끝은 항상 옭매듭으로 마무리 한다.
* 사용중에도 수시로 점검한다.
* 다른 등반자에게도 매듭을 해 줄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