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닮은 지형 베스트 10.
한반도를 가장 많이 닮은 지형 베스트 탑 10
반도사관은 비판받아도 '한반도 닮은 지형'은 자주 뉴스에 오르곤 한다.
지금까지 조금이라도 알려진 '한반도 닮은 지형들'을 모아서 어느 곳이 가장 한반도를
많이 닮아 있는지 그 베스트 탑 텐(Top 10)을 매겨보았다.
오늘자 연합뉴스에서도 사진과 함께 전남 해남군 송지면 땅끝이 '한반도 지형을 닮아 있다'는
보도를 했다. 그러나 사진을 보니 백두대간이 한반도의 중앙에 와 있어 덜 닮아 있다.
지금까지 '한반도 닮은 지형'으로는 강원도 영월군 서면 옹정리 선암마을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번도 알려지지 않은 숨어 있는 진짜 한반도 닮은 지형은 경북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에 있는 성주댐에 있는 봉두 봉우리이다.
그 모습을 뒤집어보면 한반도 지형을 가장 많이 닮은 지형이 된다.
이러한 좌우 바꾸기 지형은 충북, 옥천군 안남면 둔주봉의 '한반도 닮은 지형'에서도
볼 수 있다.
필자가 찾아본 해외에서 가장 한반도 닮은 지형은 파나마의 아주에로 반도(Azuero
Peninsula)라고 할 수 있다.
아래는 지금까지 '한반도를 닮은 지형'으로 화제에 올랐던 곳들을 아래에 총망라한 것으로
닮아 있는 순서대로 랭킹을 매긴 것이다.
한반도 닮은 베스트 탑 텐(Top 10) 지형
1.경북 성주군 금수면 성주댐
*가장 많이 한반도를 닮은 성주댐의 봉두 봉우리. 경북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원판 사진을 좌우로 돌려놓았다.
백두산과 백두대간이 강조되어 있다.
2.강원도 영월군 서면 선암마을
*가장 많이 알려진 강원도 영월군 서면 옹정리에 선암마을
요동반도 지역이 끊어져 있으나 '한반도를 닮은 지형'이다.
3. 전남 무안군 몽탄면 영산강 유역
*전남 무안군 몽탄면 영산강 유역
연해주가 약하며 '남야북산'이 지나친 면이 있으나 '한반도 닮은 지형'이다
4. 충북 옥천군 안남면 둔주봉
*충북, 옥천군 안남면 둔주봉. 좌우를 뒤집은 사진
전남 끝이 너무 뾰족하나 한반도를 닮은 지형이다.
5. 전남 해남군 송지면 땅끝

6. 충북 옥천군 서면 논골마을
*강원도 홍천군 서면 논골마을
남해안이 너무 두루뭉술하지만 '한반도 닮은 지형'이다
7.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귤암리
*강원 정선군 정선읍 귤암리 1번지
남해안이 원형이 되어 있으나 한반도를 닮아 있다.
8. 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천리 월류봉
*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천리 월류봉
동해안 물길이 다른데로 돌아가지만 한반도 닮은 지형이다.
9. 독도의 한반도 지형
*독도 한반도 닮은 지형
옆의 일본이 물에 갈아앉은 것 같다.
10. 한라산 우도 올레길
*한라산 우도 올레길
황해도가 너무 강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한반도를 닮은 바위이다.
*아깝게 탈락한 그 외의 지역 후보들
*전남 신안군 흑산도 한반도 닮은 지도바위
황해도가와 평안도가 붙어버린 감이 있으나 재미있게 생겼다.
*강원도 정선 덕송리 '한반도 닮은 지형
조망지역이 불안한데 좀더 가까운 아래쪽 능선에서 찍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한반도 닮은 인공 지형
*경기도 장호원읍 송산2리 용풍저수지 '한반도 닮은 댐'
*남쪽은 물 북쪽은 들인 '한반도 닮은 저수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과 경주시 산내면 경계에 있는 문복산에서 내려다 본 저수지
*도로가 만들어낸 대관령 구간 '한반도 닮은 지형'
*전남 여수 남면 안도리. '한반도 닮은 마을'
압록강을 일자로 만들고 있어 중강진 부분에 집이 한 채 더 필요하다.
*경북 금릉군 김천시 무궁화공원의 한반도 모양 소나무
*강원도 양구군의 한반도를 닮도록 조성한 습지
*한반도 닮은 해외 지형
*파나마 아쥬에로 반도(Azuero Peninsula) '한반도 닮은 지형'
*한반도를 닮은 리투아니아 호수
*티벳의 메리설산 '한반도 닮은 지형'.
* 미국 중서부 슈페리어호변. 서울의 모습과 더불어 한반도 닮은 이미지
사람이 자신의 모습을 보기 위하여 거울을 보듯이 아끼는 것은 제2의 닮은 꼴을 찾고싶어 한다.
한반도 닮은 지형에 대한 관심들은 대한민국 지도를 자주 본 결과적 반사작용인 면도 있으나
한반도에 대한 애틋한 애국심에서 그 모양을 새기는 심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반도 닮은 지형은 앞으로도 더 많이 발견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