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암환자 기여위험도 발표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암으로 숨진 남성 세 명 중 한 명은 흡연 때문에 사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흡연을 포함해 감염, 음주, 비만 등 예방 가능한 위험요인들이 전체 암 사망 원인의 45%를 차지했다.
국립암센터 원영주, 정규원 연구팀은 국제암연구소와의 국제협력 연구를 통해
이런 내용의 '우리나라 암환자의 기여위험도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국가암등록자료와 통계청 암사망자료를 바탕으로 2009년 신규 암 발생자와 암 사망자의 기여위험도를 측정한 것으로,
국가 단위의 자료를 근거로 한 아시아 최초의 추정치라고 암센터는 설명했다.
기여위험도란 전체 인구집단에서 발생한 특정 질병 중 특정 요인이 작용해 발생했다고 간주되는 비율을 가리키는 말로,
가령 폐암 사망 가운데 흡연의 기여위험도가 30%일 경우 흡연 요인을 제거하면 폐암 사망의 30%를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9년 신규 성인 암 발생의 33.8%, 암 사망의 45.2%가 감염, 흡연, 음주, 비만, 부족한 신체활동,
출산력 및 호르몬제 사용 등 6개 위험요인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 가운데 '감염'이 전체 암 발생의 20.1%, 암 사망의 23.6%로 가장 큰 원인을 차지했다.
자궁경부암 발생의 100%, 위암의 76.2%, 간암의 61.8%가 감염으로 인한 것이었다.
'감염'에 이어 '흡연'이 전체 암 발생과 사망의 두 번째 큰 요인으로 분석됐다.
'흡연'은 전체 암 발생의 11.9%, 암 사망의 22.8%를 차지했으며,
특히 남성 암 사망 중에서는 32.9%로 감염(25.1%)을 제치고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남성 암 사망 사례 셋 중의 하나 꼴로 흡연이 원인이 된 것으로,
2009년 1만4천320명의 남성이 흡연으로 인한 암으로 세상을 떠난 셈이다.
암 종류별로는 후두암의 70.3%, 폐암의 46.5%, 방광암의 35.4%가 흡연으로 인해 발생했다.
이와 함께 '음주'와 '과체중'이 각각 전체 암 발생 원인의 1.8%를 차지했고
출산력과 호르몬제 사용으로 인한 암 발생은 1.6%였다.
이진수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일상생활에서 암예방 생활수칙 실천과 조기검진만으로도
암질환의 상당 부분이 예방 가능함을 의미한다"며 "더 정확한 조사를 위해
식이, 환경, 직업성 요인 등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표 > 주요 암종에 대한 흡연의 기여위험도(%)
mihye@yna.co.kr
'생활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사천자문_56.任推戴禑 旦廢?殺(임추대우 단폐요살) 56.우왕·창왕·공양왕 - 몰락하는 고려? (0) | 2014.03.11 |
---|---|
2014년부터 달라지는 최우선 변제금 (0) | 2014.01.03 |
[스크랩] 양도세 한시 감면 “1세대 1주택자의 주택(감면대상기존주택)”의 질의 응답-국토부 (0) | 2013.06.04 |
전립선 이야기 (0) | 2013.05.29 |
부동산 대책 중요내용(확정안~) (0) | 2013.05.08 |